티스토리 뷰
학습된 무기력 (helplessness)
피하거나 극복할 수 없는 부정적인 상황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어떠한 시도나 노력도 결과를 바꿀 수 없다고 여기고 무기력 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출처: 심리학 용어사전]
'학습된 무기력'을 교육분야에서는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학습된 무기력
피할 수 없거나 극복할 수 없는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경험으로 인하여 실제로 자신의 능력으로 피할 수 있거나 극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그러한 상황에서 자포자기하는 것이다. 학습된 무력감이라도 한다. [특수 교육학 용어사전]
내가 학습된 무기력 이론을 주목하는 이유는, 우울증 및 관련 정신질환들이 벌어진 상황을 통제하지 못한다는 데서 원인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즉, 우울증의 원인이 '학습된 무기력'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다.
학습된 무기력 이론은, 심리학자 셀리그먼이 그 동료와 함께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바탕이 되었다. 셀리그먼의 구체적인 실험 내용을 살펴보자.
[실험 1]
1집단: 묶여있음+아무 자극 없음 / 잠시 동안 묶여있다 풀림
2집단: 묶여있음+전기충격+레버 있음 / 레버를 눌러 전기충격을 멈출 수 있음
3집단: 묶여있음+전기충격+레버 없음 / 전기충격을 멈출 수 없음 / 2집단의 개와 3집단의 개는 짝을 짓고 연결되어 있어 2집단의 개가 레버를 눌렀을 때야 비로소 3집단의 개도 전기충격이 멈춤
[실험 2]
이후 1.2.3집단의 개들을 왕복 상자에 넣고 다시 실험을 시작했다. 왕복 상자의 한쪽에만 전기충격을 주고 가운데 칸막이를 넘으면 반대쪽 전기충격이 없는 곳으로 피할 수 있도록 했다. 결과는 주목할만했다. 1.2집단의 개들은 전기충격을 받자 칸막이를 넘어서 전기충격을 피할 수 있었다. 하지만 3집단의 개들은 처음에는 30초 정도 이리저리 미친 듯이 뛰어다니다가 누워 낑낑대며 전기충격을 그대로 받으며 견디고 있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 1.2.3집단의 모든 개들은 똑같이 묶여 있다. 전기충격을 피할 수 있는 조건과 피할 수 없는 조건으로 개들은 나뉘어 서로 다른 경험을 하게 된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모든 개들은 칸막이를 넘기만 하면 전기충격을 피할 수 있는 동일한 조건에 놓인다. 개들의 행동은 이전의 경험에 따라 너무도 달랐다. 이전에 전기충격을 받지 않았거나 피할 수 있었던 1.2집단의 개들은 전기충격을 피했다. 하지만 이전에 전기충격을 피할 수 없었던 3집단의 개들은 전기충격을 피하지 못했다.
즉, 회피 불가능한 경험을 한 경우, 회피 가능한 상황에서도 회피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3집단의 경우, 2집단과 연결되어 있었고 레버를 가진 2집단의 개가 레버를 누를 때만이 전기충격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전기충격이 끝나는 때는 임의의 때다. 전기충격이 끝나는 때는 일정한 기준과 원칙이 없이 2집단의 개가 고통을 멈추고자 레버를 누룰 때다. 이들에게 전기충격이란 '스스로 벗어날 수가 없는 것'이 된다. 결국, 어떤 노력도 이 상황과 고통을 바꿀 수 없다고 생각하고, 시도조차 포기하고 만다.
[출처: 위키백과]
학습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동물에게서 볼 수 있는 행동의 유형의 하나로, 고통스럽거나 혐오스러운 자극들 반복적으로 견뎌내는 가운데 발생하며 이로 인해 벗어나거나 회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험 이후에 동물은 새로운 상황을 벗어나거나 회피하는 것을 수용하거나 배우는 것을 실패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즉, 혐오스러운 자극이 있는 상황에서는 이것이 도움이 없다고 학습하고 제어권을 상실함으로써 시도를 포기하게 된다. 이러한 주체는 학습된 무기력을 습득했다고 간주한다. 학습된 무기력 이론은 임상적 우울증 및 관련 정신 질환들이 벌어진 상황을 통제하지 못하는 데에 비롯될 수 있다는 관점이다.
helplessness: 무력함, 도움이 없음, 난감함의 뜻
실패의 경험(노력해도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이 거듭되면 될수록 학습된 무기력으로 인해 자포자기로 나타날 수 있다. 학습된 무기력은 실패의 대한 두려움(나는 이 상황과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 하지만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그것이 두렵다.)에서 나온다. 이 두려움은 부정적인 생각(나는 이 상황과 고통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벗어나게 할 수도 없다. 이 상황을 그만 멈춰달라는 내 말과 외침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계속될 것이다.)을 불러온다. 부정적인 생각은 경험(나에게 이 상황과 고통은 다시 찾아온다. 이 상황을 만든 건 내가 아니다. 난 이것을 컨트롤할 수가 없다.)에 의해 강화된다. 이 경험은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자기 암시가 되어 내 잠재의식에 자리하게 된다.
'나는 무엇에 묶여 있는가? 극한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는 정말 벗어날 수 없었을까? 못한 게 아니라 안 한 것이었을까?' 묻게 된다.
셀리그먼은 학습된 무기력 이론을 발표한 뒤 시간이 지나 학습된 낙관주의 이론을 발표한다. 학습된 무기력이 극복 가능한 것으로 보고 그 대안으로 반대되는 학습된 낙관주의 이론을 내놓는다.
2019/10/09 - [마음 건강] - 죽고 싶을 때, 죽고 싶을 만큼 힘들 때, 가장 듣고 싶은 말(힘이 되는 말)
죽고 싶을 때, 죽고 싶을 만큼 힘들 때, 가장 듣고 싶은 말(힘이 되는 말)
지금 우울한가요? 힘이 드나요? 멈추고 싶나요? 모두 다 그만두고 싶나요? 그런데 죽고 싶을 만큼 힘들때, 죽고 싶을 때, 그 순간 가장 듣고 싶은 말은 무엇일까? 있기는 한 걸까? 실제로 자살 욕구를 느끼고 그..
what-do-you-want.tistory.com
2019/10/03 - [마음 건강]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제대로 알고 있나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제대로 알고 있나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해 제대로 알기 위해서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로부터 자료가 수집되었음을 말씀드립니다. 고심 끝에 가급적 자료에 충실하고자 했습니다.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분들께서 본인의..
what-do-you-want.tistory.com
2019/10/06 - [마음 건강] - '죽었으면' 하고 자살욕구가 든다면 꼭! 보세요! 자살극복에 관하여..
'죽었으면' 하고 자살욕구가 든다면 꼭! 보세요! 자살극복에 관하여..
살다 보면 살아가다 보면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나를 압도하는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가만히 있어도 힘들 때, 누군가로부터 감정의 쓰레기통이 되고 있다면, '죽었으면' 이런 생각이 점점 물밑 들어오듯 나..
what-do-you-want.tistory.com
여러분의 공감은
저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마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 자가진단과 우울증(초기)증상 - 나 이대로 괜찮은가? (0) | 2019.10.17 |
---|---|
우울증_ 우울한 자신을 받아들이는 것부터 시작해봐요.. (0) | 2019.10.16 |
죽고 싶을 때, 죽고 싶을 만큼 힘들 때, 가장 듣고 싶은 말(힘이 되는 말) (2) | 2019.10.09 |
마음이 무너질 때, 버티기 힘들 때, 가슴으로 하는 말 함께 들어요. (0) | 2019.10.07 |
'죽었으면' 하고 자살욕구가 든다면 꼭! 보세요! 자살극복에 관하여.. (0) | 2019.10.06 |
- Total
- Today
- Yesterday
- 나 이대로 괜찮은 걸까?
- 어글리돌 모씨
- 정신건강상담 전화
- 우울증극복방법
- 나의 슬기로운 감정생활
-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
- 죽고싶을만큼힘들때
- 자기자신을 받아들이기
- 후회최소화법칙
- 자살욕구
- 임재범 거인의 잠
- 후회가 찾아올 때
- 퍼펙션스쿨
- 푸른밤 종현의 말
- PTSD
- 완벽하지 않으면 어때?
- 만성질환과 건강즙
- 아마존창업자
- 물음과 대답
- 종현유서
- 유튜버 아는 변호사
- 자기침묵깨기
- 우울증 극복방법
- 우울증
- 왜곡된정보처리
- 유튜버 해피새아
- 정신건강상담
- 제프 벤조스
- 답하지 못한 물음
- 분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